우리 국민의 약 절반이 장기적인 울분 상태에 놓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30대가 높은 수준의 울분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 연구팀이 '한국인의 울분과 사회·심리적 웰빙 관리 방안을 위한 조사'의 주요 결과를 27일 공개했다.
해당 조사는 지난 6월 12∼14일 만 18세 이상 전국 남녀 10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95% 신뢰수준, 표본오차는 ±3.1%P다.
이번 조사 결과 응답자의 49.2%가 장기적인 울분 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심각한 수준의 울분을 겪는 응답자도 9.3%나 됐다.
이번 조사에서 연구진이 성과 연령, 교육·소득수준 등 인구 사회적 변수에 따른 울분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2.5점 이상의 심각한 울분을 겪는 비율은 만 60세 이상(3.1%)에서 가장 낮았다.
반면 심각한 수준의 울분을 겪는 비율은 30대에서 13.9%로 가장 높았다. 30대는 1.6점 미만의 정상 상태 비율(45.7%)도 가장 낮았다.
연구팀은 울분을 부당하고, 모욕적이고, 신념에 어긋나는 것으로 여겨지는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조사에서 울분 수준은 1.6점 미만(이상 없음), 1.6점 이상∼2.5점 미만(중간 수준), 2.5점 이상(심각 수준) 등 3개 구간으로 나눴다. 1.6점 이상은 중간 수준 이상의 울분 속에 있거나 그런 감정이 계속되는 '장기적 울분 상태'로 규정했다.
사회·경제적 여건에서 자신의 위치를 묻고 상중하 3개 구간으로 나는 뒤 울분 점수를 비교했을 때 자신을 하층으로 인식하는 이들의 60%가 장기적 울분 상태에 해당한다고 답했다. 반면 자신을 상층으로 인식하는 이들은 61.5%가 이상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