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가 빅5 병원 등 대학병원 교수들이 휴진을 선언한 당일인 18일 의사들의 평균연봉을 공개했다. 1인당 3억~4억 원 수준이고 최고 급여는 6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의사 1인당 평균연봉 수준이 가장 높은 곳은 4억 원인 특수목적공공병원 ○○병원이었다. 지방의료원인 ○○의료원과 ○○재활병원이 3억 9000만원, 지방의료원인 ○○의료원이 3억 8330만원, 특수목적공공병원인 ○○병원과 민간중소병원인 ○○병원이 3억 80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의사 중 연봉을 가장 많이 받는 곳은 특수목적공공병원인 ○○병원이었다. 6억 원에 이르렀다. 이어 ○○의료원이 5억 9478만원, ○○의료원이 5억 3200만원, ○○기독병원이 5억 원으로 5억 원대를 기록했다. ○○의료원이 4억 8200만원, ○○의료원이 4억 3333만원, ○○의학원이 4억 1776만원, ○○의료원이 4억 1545만원, ○○병원이 4억 1360만원, ○○국립대병원이 4억 146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국립대병원과 사립대병원 등 대형병원 전문의 1인당 평균임금은 1억 5000만~2억 원 수준이었고, 최고 연봉도 4억 원 수준이었다.
이에 대해 보건의료노조는 “국립대병원과 사립대병원 등 대형병원 전문의가 받는 연봉 수준은 일반직원에 비해 근무일수와 근무시간이 훨씬 적은 점을 고려해야 하고, 연장근로수당·야간근로수당·휴일근로수당·연차수당 등을 제외한 것을 감안해야 한다. 이들 수당과 각종 인센티브, 기피진료과 수당 등을 포함하면 실제 받는 연봉은 훨씬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0일 보건복지부가 서울고등법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공의를 제외한 2022년 의사 평균연봉은 3억 100만원이었다. 의원급 의사 연봉은 3억 4500만원, 병원급 의사 연봉은 3억 9400만원, 중증·응급의료를 담당하는 상급종합병원 의사 연봉은 2억 100만원이었다. 보건의료노조의 의사 임금실태조사 결과는 정부가 발표한 의사 평균연봉 조사 결과와 부합한다.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민간중소병원 등 지방병원과 중소병원의 의사 임금이 높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만큼 지방병원과 중소병원에서 의사를 구하기가 어렵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 임금 실태조사 결과는 이들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민간중소병원들이 의사 구인난에 따른 진료과 폐쇄와 진료역량 붕괴, 울며 겨자먹기로 고령·은퇴의사 채용, 의사에 대한 신뢰도 저하, 경영부담 증가, 경영압박 등의 악순환을 겪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라며 “우수한 의사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 없이는 지역의료·공공의료를 살릴 수 없고, 의료전달체계가 붕괴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는 전체 인건비 대비 의사 인건비 비중도 발표했다. 의사 인건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영남지역 민간중소병원인 ○○병원으로서 40%였다. 영남지역 민간중소병원인 ○○병원(37.8%), 서울지역 사립대병원인 ○○병원(37%), 경기지역 민간중소병원인 ○○병원(36.9%), 서울지역 공공병원인 ○○병원(35%), 호남지역 민간중소병원인 ○○병원(35%), 호남지역 민간중소병원인 ○○병원(34.9%), 강원지역 지방의료원인 ○○의료원(33.6%), 호남지역 지방의료원인 ○○의료원(33.1%), 영남지역 특수목적공공병원인 ○○병원(33%) 등이 뒤를 이었다.
의사 인건비 비중이 높은 의료기관을 보면, 지방병원, 민간중소병원, 공공병원이 많고, 경영악화를 겪고 있는 사립대병원도 일부 포함돼 있다. 실태조사 결과는 역시 의사 구인난을 겪고 있는 지방병원, 민간중소병원, 공공병원들의 의사 인건비 비중이 높다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전체 직원의 임금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의사 임금이 병원 경영난의 주요 원인이란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보건의료산업 노동자의 임금총액은 평균 5231만원이었다. 의사 1인당 평균연봉(3억 원)은 보건의료노동자 1인당 평균연봉의 5.7배, 4억 원은 7.6배에 해당한다.
보건의료노조는 “천정부지로 치솟는 의사의 적정임금 수준 확립과 안정적인 의사인력 확보 방안을 마련하지 않고서는 안정적인 병원 운영과 올바른 의료전달체계 확립, 협력적 의료체계 구축도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 부족과 의사 구인난으로 지역병원·공공병원들이 필수진료과를 폐쇄하고, 천정부지로 치솟는 의사 인건비 때문에 심각한 경영위기를 겪고 있는 현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라며 “의사 구인난과 의사 고임금으로 지역의료·공공의료가 붕괴하고 있는 현실 앞에서 의대 증원을 백지화하라는 의사들의 주장은 더 이상 명분이 없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의사들이 정말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를 살리겠다면 집단휴진에 나설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게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의사 적정임금을 제시하고, 그 적정임금을 받으며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에 근무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이라도 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비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