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극복·탄소중립 실현 10년 밑그림 그린다!

2024-05-16 12:08

- 시, 16일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과 제3차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 2025년~2034년(계획 10년),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전주시 탄소중립 정책 방향과 전략 제시
- 변화된 기후환경 및 적응 여건 분석, 체계적 기후위기 적응대책 마련, 지역 특성을 반영한 회복력 향상 사업 발굴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10년 앞을 내다본 중장기계획을 마련키로 했다.

‘전주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제3차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전주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제3차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시는 16일 현대해상 8층 회의실에서 김용삼 전주시 복지환경국장과 관계 전문가, 공무원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과 제3차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전주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제3차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은 지난 2021년 9월에 제정된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과 2022년 6월에 제정된 ‘전주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 조례’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해야 하는 법정계획이다.

용역 공동 수행기관인 전북녹색환경지원센터와 (재)전주시정연구원은 올 연말까지 시민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장차 심각한 기후변화를 예방하기 위해 막대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재난 피해 등을 막을 대책을 마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시는 환경부에서 제공한 ‘지자체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수립 및 추진상황 점검 가이드라인’에 따라 오는 향후 10년(2025년~2034년)을 계획기간으로 설정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한 탄소중립을 위한 비전 및 전략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온실가스 감축 대책 등을 담은 전주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시는 ‘지방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점검 지침’에 따라 제2차 전주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20~2024)의 종료에 따른 운영성과와 한계점을 분석하고, 변화한 전주시 여건을 반영해 기후위기 적응 능력 및 회복력 향상을 위해 향후 5년(2025년~2029년) 동안 추진할 제3차 전주시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이러한 계획 수립과정에서 다양한 시민과 전문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관계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자문단을 구성·운영하고, 일반시민과 환경단체 활동가, 계층별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간담회와 설명회를 병행하는 등 실질적 사업발굴 및 추진계획이 마련될 수 있도록 힘쓰기로 했다.

시는 이번 용역의 결과물을 토대로 내년 초에 ‘전주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제3차 전주시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전주시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전북특별자치도 및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에 최종 제출할 예정이다.

김용삼 전주시 복지환경국장은 “탄소중립은 기후 위기로 인해 생존권마저 위협받는 시민들을 지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정책”이라며 “앞으로 수립될 이 계획들을 토대로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폭염과 홍수, 태풍 등 혹독한 기후재난과 기후 위기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낼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home 김가인 기자 rkdls252@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