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G는 사장추천위가 현 백복인 사장을 단수로 사장 후보로 추천했으며, 3월 19일 금요일 오전 10시 대전 KT&G 인재개발원 비전홀에서 제34기 주주총회를 열어 백 사장의 재연임 안을 통과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장점마을 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최재철)와 장점마을 주민, 촛불계승연대 천만행동(상임대표 송운학), 환경단체 글로벌에코넷(상임회장 김선홍)과 시민환경단체들은 마을 주민 80여명 중 33명 암 발병, 15명 사망, 18명 투병 중인 전북 익산 장점마을 환경참사 원인 제공자인 KT&G 백복인 사장의 재연임 추진은 대한민국 국민과 장점마을 주민을 무시하는 후안무치(厚顔無恥)하고 파렴치(破廉恥)한 계획이라며, KT&G 백복인 사장 재연임 결사반대 기자회견을 18일 오후 2시에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개최했다.
이 소식을 접한 장점마을 주민대책위는 서울로 상경하여 참담한 심정을 토로하면서, 백사장의 재연임을 주주총회에 상정할 경우 “물리력을 동원해서라도 백 사장의 재연임을 막겠다”고 결연한 심정으로 분노를 표출했다.
최재철 주민대책위원장은 성명서에서 “현재 아프지 않은 주민들도 언제 암에 걸릴지 모른다는 불안감 속에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면서 “마을 주민들은 2019년 두 차례 상경 집회를 통해 KT&G 사장의 면담과 공식 사과를 촉구했지만 백 사장은 주민들 요구에 침묵으로 일관했다”고 일갈했다.
최 위원장은 “이런 백 사장 태도를 보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기업체의 대표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고, 회사 이익 앞에는 주민들이 집단으로 암에 걸려도 별 안중에도 없다는 것을 느꼈다”면서 “장점마을 집단 암에 대해 도의적 책임의식도 없는 사람이 대표이사로 재 연임되면 안 된다”며 눈물로 호소했다.
또 “KT&G가 장점마을 비료공장에 제공한 연초박(담배 찌꺼기) 때문에 주민 80여 명 중 절반 정도가 사망했거나 암투병 중인데 단 한마디 사과도 없이 모르쇠로 버티는 사람을 또다시 대표이사로 재연임 (6년+3년) 시키는 KT&G는 정말 뻔뻔한 기업”이라면서 “절대 재연임 불가”를 호소하면서 “3월 19일 주주총회에서 백복인 사장 선임의 건이 부결되어야 한다”고 강력하게 촉구했다.
송운학 촛불계승연대 상임대표는 “백복인 사장은 지난 2020년 환노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잘 모른다, 모르쇠로 일관하면서 환경 대참사로 온 마을이 초토화된 주민들과 국민을 우롱한 장본인이다. 국회 보도자료에 의하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급여 등 74억원을 지급받았고, 또 다시 3년 연임하면 수십억의 급여를 받는다는 것은 사망한 장점마을 주민들이 하늘에서 통곡할 것”이라며 재신임 결사반대를 주장했다.
송 상임대표는 “KT&G는 지난 2004년부터 2020년까지 누적 순이익이 무려 1조 950억 원에 달한다. 또, 2020년 사회공헌이 671억 원이며, 국내 최대 규모라고 뻔뻔하게 자랑질하는 악덕기업”이라고 규탄하면서 “시민사회단체들은 불매운동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KT&G가 진정성 있게 장점마을 주민들과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사죄하고 성실하게 배·보상할 때까지 강력하게 투쟁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어 김선홍 환경단체 글로벌에코넷 상임회장은 “2019.11.14. 환경부가 발표한 전북 익산시 함라면(장점마을)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실태조사 결론에 따르면, ‘(유)금강농산이 퇴비(교반공정)로 사용해야 할 연초박을 불법으로 유기질 비료 원료(검조공정)에 사용했으며, 허술한 방지시설 관리로 건조과정 중 휘발되는 연초박 내 TSNAS (담배특이니트로사민) 등 발암물질들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장점마을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로 인해(유)금강농산과 주민 암 발생 간에 역학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이라고 분명하게 적시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김 상임회장은 “지금 이 순간도 KT&G는 불법행위, 위법행위를 부인하고 있다. 이는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행위”라고 강조하며, “KT&G가 인지하고 있는 연초박 유해성을 고지하지 않는 행위와 전북도, 익산시 부실행정이 환경참사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장석 경찰 무궁화클럽 회장, 심종숙 민족작가연합 사무총장, 이보영 기업윤리경영을 위한 시민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이 참석하여 함께 구호를 외쳤다. 또, 국민주권 개헌행동, 행·의정 감시 네트워크 중앙회, 개혁연대민생행동, 공익감시 민권회의(준), 한국 환경시민단체협의회 등 시민환경단체들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