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의 주동자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이 별도의 비상 입법기구를 창설해 국회를 무력화하려고 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SBS가 28일 단독 보도했다.
검찰은 전날 김 전 장관을 기소하며 그가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군과 경찰을 동원해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을 저지하려고 했다고 밝혔다. 특히 검찰은 이들이 국회를 사실상 무력화한 뒤 전두환 정권 당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와 유사한 별도의 비상 입법기구를 창설하려 했다는 정황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경고성 계엄이었다는 윤 대통령 해명과 달리 계엄을 장기적으로 지속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의심되는 대목이다.
이 같은 계획은 12·3 계엄 사태의 비선으로 지목된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부 사령관의 수첩에서 드러났다.
해당 수첩은 지난 23일 노 전 사령관이 무속인으로 활동하던 경기 안산시의 점집에서 발견됐다. 수첩에는 '국회 봉쇄'라는 단어와 함께 정치인, 언론인, 공무원 등을 '수거 대상'으로 표현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검찰은 이 수첩에 적힌 비상 입법기구 구상이 김 전 장관뿐 아니라 윤 대통령에게도 공유됐는지 집중 조사하고 있다.
노 전 사령관 변호인은 SBS의 입장 요청에 "아직 수첩을 보지 못했으며, 조사가 그 부분까지 이뤄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검찰은 김 전 장관의 휴대전화를 압수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26일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해 확보한 이 휴대전화는 계엄 당시 김 전 장관이 윤 대통령에게 보고하거나, 윤 대통령이 김 전 장관에게 지시한 내용이 담겼을 가능성이 있는 주요 증거로 지목된다. 검찰은 오는 30일 휴대전화에 대한 포렌식 선별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김 전 장관은 조사 과정에서 진술을 거부하고 있지만, 검찰은 이 휴대전화를 통해 계엄군 지휘관들의 진술을 뒷받침할 물적 증거를 확보하려 하고 있다. 특히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주요 군 지휘관들에게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장악을 지시한 내용, 김 전 장관이 여인형 국군 방첩사령관에게 주요 정치인 10여 명의 체포·구금을 지시한 정황 등을 검증할 계획이다.
김 전 장관이 보안성이 높은 메신저 앱 '시그널'을 사용해 계엄 관련자들과 대화를 나눴을 가능성도 조사 대상이다. 검찰은 압수한 휴대전화를 통해 이러한 대화 내역을 확인하고, 계엄 사태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밝혀낼 방침이다.
김 전 장관 측은 검찰의 휴대전화 압수가 불법이라며 준항고를 제기했다. 김 전 장관의 변호인은 "검찰이 앞선 포렌식 과정에서 휴대전화의 성상에 변화를 가했으며, 이를 숨기고 영장을 받아 압수를 강행했다"고 주장했다. 준항고는 수사기관의 처분에 불복해 법원에 취소를 요청하는 제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