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후유증 중 하나인 신경활동의 둔화가 뇌의 시상에 간접적 손상이 가해진 결과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21일(현지시각) 해외 의학 전문 매체 메디컬 익스프레스는 최근 캐나다 연구진이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를 통해 이와 같은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시상은 언어, 기억, 주의력, 움직임 등을 조절하는 중심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다. 연구진은 뇌졸중을 겪으면 시상에 직접적 손상은 발생하지 않지만 몇 달 또는 몇 년이 지난 뒤에도 영향을 미치는 2차 손상이 가해진다고 밝혔다.
캐나다 토론토대의 필립 존스턴 박사과정 연구원은 "시상의 간접적인 손상이 뇌졸중 후 비정상적인 뇌 활동과 장기적인 장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시상은 다른 뇌 조직과 달리 약간의 손상만 입기 때문에 회복을 촉진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희망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18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의 뇌 활동 기록을 분석했다. 건강한 사람과 비교해 비정상적인 시상 기능을 파악하고, 뇌졸중 생존자의 뇌 활동과 해부학을 연구해 시상의 간접 손상 정도와 장애 수준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
존스턴 연구원은 "시상이 긴 돌출부위를 지닌 축삭을 통해 뇌의 나머지 부분과 널리 소통하기 때문에 간접적인 손상에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뇌졸중으로 인해 뇌의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손상이 세포를 따라 이동해 시상의 신경세포에 2차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상의 기능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시상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간접적 장애는 손상되지 않은 뇌의 다른 부위를 조절하는 기능을 방해하는 연쇄효과도 낳는다.
연구진은 약물이나 뇌 자극과 같은 특정 치료법으로 시상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거나 시상으로 이동하는 손상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연구를 이끈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의 앤서니 랜디 맥킨토시 교수는 "이러한 발견은 뇌졸중 후 장애의 어떤 측면이 간접적인 시상 장애로 인한 것인지, 병변 자체의 직접적인 손상으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많은 새로운 질문을 제기한다"고 전했다.
이어 "뇌졸중 후 시상은 여러 유형의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특정 유형 또는 여러 유형의 조합이 비정상적인 뇌 활동을 유발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며 "다음 단계는 뇌졸중 후. 첫 몇 시간 및 며칠 동안 시상의 간접 손상 및 관련 비정상적인 뇌 활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고 덧붙였다.
뇌졸중은 갑작스러운 신경학적 손상이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생존 시에도 뇌조직 손상과 영구장애를 남길 수 있어 빠른 진단과 치료가 관건이다.
뇌졸중은 손상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르지만 근력약화, 피부감각 저하, 어눌한 발음, 어지럼증, 심한 두통, 편측마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이 발생한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뇌졸중은 발병 후 1분당 약 190만개의 신경세포가 손상된다고 알려졌다.
겨울철에는 추위로 인해 야외운동 시 혈관이 급격히 수축하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고혈압환자나 심장질환자는 실내에서 가벼운 스트레칭과 유산소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또 추위로 인한 혈압상승을 예방하려면 실내외 온도 차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외출 시에는 머리와 목을 따뜻하게 감싸고 실내 온도를 18~22도로 유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