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의 옹알이가 심박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20일(현지시각) 미국 건강 전문 매체 헬스데이 보도에 따르면, 최근 휴스턴대 제레미 보르존 교수는 유아가 심박수 변동이 최고점이나 최저점에 도달할 때 발성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옹알이는 영아가 구체적인 단어와 문장을 말하기 이전 시기에 내는 소리로, 동일한 또는 다양한 음절을 되풀이하여 소리 내는 것을 뜻한다.
연구진은 생후 18~27개월 아기 34명이 간병인과 함께 놀면서 내는 2700개 이상의 발성을 측정했다. 이 연령대의 유아는 일반적으로 아직 완전한 단어를 말하지 못하지만, 발성 중 약 10%만이 단어로 식별할 수 있었다.
보르존 교수는 "유아가 내는 모든 소리가 뇌와 신체가 서로 조율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되며, 결국 말하기로 이어진다"며 "이러한 소리는 심박수 및 호흡과 같은 자동 기능을 제어하는 자율 신경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심장과 폐는 생후 첫 몇 년 동안 발달하면서 상당한 변화를 겪으며, 이는 아기의 성장하는 말하기 능력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박수가 느려지면 알아들을 수 있는 단어를 말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반면 심박수가 최고조에 달할 때는 더 긴 발성을 할 가능성이 높았다.
보르존 교수는 "인식 가능한 발성과 심박수 감소 사이의 관계가 성공적인 언어 발달이 유아가 발달을 통해 예측 가능한 범위의 자율 활동을 경험하는 데 달려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자와 전문가들이 아동의 말하기 능력 발달이 지연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언어 발달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르존 교수는 "자율 신경계가 발달 과정에서 유아의 발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언어가 어떻게 출현하는지, 그리고 비정형 언어 발달의 위험 요소를 이해하기 위한 향후 연구의 중요한 길라잡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