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스키장에 사람이 몰리는 시기가 찾아왔다. 스키나 스노보드 등 겨울 스포츠는 순발력과 민첩함, 균형감각을 기르기 좋은 운동이지만 눈 덮힌 경사로 위를 빠르게 내려오는 만큼 안전사고 위험도 크다. 따라서 겨울 스포츠를 즐길 때는 항상 안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9~2023년 접수된 스키와 스노보드 안전사고는 총 1234건이었다.
특히 코로나19 종식 이후인 2021년부터 매년 증가해 작년에는 전년 대비 86.9% 상승한 443건이 접수됐다. 미끄러지거나 낙상사고가 1137건(92.1%)으로 가장 많았고, 충돌로 인한 부상은 56건이었다.
스키나 스노보드의 속도는 시속 15km에서 30km에 이른다. 가속도가 붙어 충돌하거나 낙상 시에는 큰 충격을 받아 목부터 발목까지 전신에 걸쳐 다칠 수 있다.
특히 올겨울은 축축하고 무거운 습설이 많이 내릴 것으로 전망되는데, 습설은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있어 슬로프(스키장에서 스키를 탈 수 있는 경사진 곳)가 슬러시 같은 상태가 된다.
슬로프가 질퍽하면 마른 눈 상태에 비해 속도가 잘 나지 않지만 잘 미끄러지지도 않는다. 이런 환경에선 스키나 스노보드의 엣지(스키나 스케이트의 쇠날, 신발바닥 가죽의 가장 자리)가 눈에 박히기 쉬워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스키는 활강 중 넘어지면 옆으로 넘어지게 되는데, 하체 위주로 사용하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엉덩이나 다리, 발을 다치는 경우가 많다. 활강 중 다리가 꺾여 정강이뼈가 부러지거나 무릎으로 땅을 디디면서 골절되는 사고가 일어나기도 한다.
골절이 되지 않더라도 스키를 신은 발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충돌이나 외부의 힘으로 무릎이 약간 구부러진 채 과도하게 회전하게 되면 반월상 연골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중심을 잃고 뒤로 주저앉을 때 무릎의 전방십자인대나 후방십자인대 등이 늘어나거나 끊어질 수 있다.
대부분 초급자는 넘어지는 순간 본능적으로 손을 땅 짚듯이 해 어깨와 손목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는다. 손목이 과도하게 꺾여서 염좌나 골절이 생길 위험이 있고, 폴(스키 막대)을 잡은 채 넘어지면서 엄지손가락 부상도 흔하게 발생한다.
스노보드는 양쪽 다리가 데크(보드의 넓은 판)에 고정돼 있어 넘어질 때 앞이나 뒤로 넘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체를 중심으로 사용하게 된다. 가장 빈번한 부상은 손목 부상으로 스키와 달리 폴을 사용하지 않아 넘어질 때 손으로 바닥을 짚기 때문이다.
앞으로 넘어지면서 아래팔이 골절되거나 방향 전환 시 원심력 때문에 뒤로 넘어지면서 뇌진탕을 입는 등 심각한 상해를 주의해야 한다.
스키와 스노보드 사고의 대부분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로 본인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큰 부상을 안겨줄 수 있어서 안전사고 예방에 유의해야 한다.
헬멧, 고글, 장갑 등 보호구는 자기 신체 치수에 맞춰 꼭 착용해야 한다. 스포츠를 즐길 때는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를 이용하고, 슬로프의 눈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평소보다 한 단계 낮은 코스에서 타거나 속도를 낮춰야 한다.
또한 다른 사람과 충돌하지 않도록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넘어질 때 몸 전체를 공처럼 둥글게 말아 안전하게 넘어지면 부상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골절이 의심되는 사고가 발생하면 배치돼 있는 안전요원이나 119에 신속하게 신고한 후 응급 처치를 하자. 골절 의심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을 대 고정하고 심장보다 높게 둔다.
골절 부위는 열, 부종, 통증이 심해지기 때문에 냉찜질이 도움이 된다. 외부 출혈이 있다면 감염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깨끗한 거즈나 천을 이용해 지혈해야 한다.
특히 허벅지, 엉덩이, 복부의 근육을 단련하고, 순발력이 좋으면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불규칙한 눈 위에서도 대처 가능하다.
오승목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경사진 곳에서 가속이 붙기 때문에 낙상이나 충돌 시 무릎과 손목 등 관절 부위에 골절 등 치명적 부상을 당할 수 있다"라며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서서 속도를 내는 운동을 갑자기 하면 심폐 기능, 관절, 근육에 무리가 오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평소 근력을 키우면 넘어지거나 충돌할 때 입게 되는 근골격계 손상을 줄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