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과 아동의 사진으로 자폐 아동의 증상 정도를 알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스위스 프리부르 대학 연구진은 자폐증 증상의 심각도와 '귀여움 효과'의 관계를 조사해 국제학술지 '자폐 및 발달 장애 저널'를 통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
귀여움 효과란 둥근 머리, 큰 눈, 통통한 뺨, 기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사람, 동물 또는 생물을 묘사한 시각적 자극을 귀엽다고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1~6세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63명의 아이들과 일반적으로 발달한 31명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아이들은 눈 추적 장치를 착용하고, 색깔이 있는 사진이 담긴 6개의 프레임을 보았다. 자폐증 아이들 중 40명은 증상이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였고, 23명은 증상이 심했다.
첫 번째 프레임 세트에는 동물, 성인 인간, 다양한 물체의 사진이 포함됐고, 두 번째 세트에는 아이들, 동물, 다양한 물체의 사진이 포함됐다. 연구진은 각 아이가 각 사진을 보는 시간을 기록했다.
연구 결과, 자폐증이 없는 아이들과 증상이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인 아이들은 첫 번째 프레임에서 동물 사진을 더 오래 보았다. 두 번째 프레임에서는 아이들과 동물 사진을 더 오래 보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자폐증 증상이 심한 아이들은 아이들, 동물, 중립적인 물체를 보는 시간이 비슷했다.
연구를 이끈 알렉산드라 자하리아 박사는 “자폐증 심각도가 높은 아동의 아기 스키마에 대한 주의 편향이 변했다는 증거를 제공하며, 귀여운 자극에 대한 주의 감소가 사회적 어려움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