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10명 중 4명이 요실금을 겪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일산백병원 한정열 교수팀은 2023년 4~12월 3개 병원에서 임산부 82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40.2%(331명)의 임산부가 요실금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최근 호에 개재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에 따르면, 임산부들이 겪는 요실금 유형 중에서는 운동이나 기침 등 신체 활동 중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새는 스트레스성 요실금이 77.1%로 가장 많았다. 복합성 요실금(16.9%)과 긴박성 요실금(6%)이 그 뒤를 이었다.
복합성 요실금은 스트레스성 요실금과 긴박성 요실금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다. 긴박성 요실금은 갑작스러운 소변 욕구를 참지 못해 소변이 새는 증상이다.
요실금 발생률은 분만 방법과 횟수, 임신 시기에 따라 달라졌다.
자연분만(질식분만)과 제왕절개를 동시에 경험한 여성이 85.7%로 가장 높았고 자연분만 여성은 62.7%가 요실금 증상을 경험했다. 제왕절개 여성은 39.7%, 미분만 임신 여성은 32.2%였다.
출산 횟수에 따른 요실금 발생률의 경우, 2번 이상 분만한 여성의 53.6%, 1번 임신 여성의 52.1%, 미출산 여성의 33.2%에서 요실금이 나타났다.
임신 시기에 따라선 임신 1기(임신 14주 이내) 19.3%, 임신 2기(임신 14~27주) 32.9%, 임신 3기(임신 28주 이후~출산) 54.2%로 나타났다
한정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산부의 요실금 유병률과 위험 요인을 밝혀낸 국내 첫 연구”라며 “임신 중 호르몬 변화와 함께 자연분만 하면 골반 근육과 골반 신경이 손상돼 괄약근과 방광 조절 기능이 약해져 요실금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요실금은 신체 활동, 사회적 관계, 정서적 안정 등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해 산후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임신 중에라도 요실금이 발생하면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